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Network)/HTTP

[HTTP] 인코딩과 포트

by 송기동 2024. 1. 25.
728x90

인코딩 표준

# 인코딩

- 문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숫자로 변환하는 과정

 

 

# 아스키코드 (ASCII)

- 7비트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 표준

- 알파벳과 특수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음

- 초기에는 각 문자마다 고유한 인코딩 표준을 사용함

   → 이러한 방식은 인코딩 호환성이 좋지 않음

ex) 한글이 뻃쑳띫 or □□ 이런 식으로 깨지는 것은 인코딩이 호환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

   → 해결 : 유니코드 

 

 

# 유니코드 (Unicode)

- 목표 : 모든 언어의 문자를 하나의 표준에 담음

- 하나의 문자를 최대 32개의 비트로 표현할 수 있음


포트

-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포트(항구)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내려 놓음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보낼 데이터를 싣고 돌려보냄

 

 

# 네트워크 포트 (Network Port)

- 네트워크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교환하는 추상화된 장소

▶ 서비스 포트 (Service Port)

- 네트워크 포트 중, 특정 서비스가 점유하고 있는 포트

ex) HTTP가 80번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 경우 → HTTP의 서비스 포트 : 80

 

 

# 포트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 : TCP & UDP

    → 해당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같은 클라이언트로 접근하지 않으면 데이터 교환 불가능

 

 

#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or 특권 포트 (Privileged port)

- 0번 ~ 1023번의 포트 번호에는 유명한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음

   → 잘 알려진 포트에 서비스를 실행하려면 관리자 권한이 필요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