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
# Connectionless (비연결지향)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 보내면 서버는 응답(response)을 한 후 연결을 끊는다.
- HTTP 1.1 버전에서는 헤더에 keep-alive 라는 값을 줘서 커넥션을 재활용하는게 디폴트다.
# Stateless (상태정보 유지 X)
- 통신이 끝나면 상태를 유지 X- 연결이 끊어지는 순간 모든 상태 정보가 사라짐- 쿠키와 세션은 두가지 특징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
쿠키 (Cookie)
-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 특징
-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고,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
-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
-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음
-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
# 구성 요소
- 이름 : 각각의 쿠키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이름
- 값 :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
- 유효시간 : 쿠키의 유지시간
- 도메인 :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
- 경로 :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
# 동작 방식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
2.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 시켜 응답
3.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이 끝나면 HTTP의 비연결성으로 인해 연결 끊김
4. 새로운 요청을 할 경우, 이전에 받은 쿠키값을 클라이언트쪽에 보관하고 있다가 HTTP 요청 헤더에 값을 포함하여 요청
5. 서버는 쿠키값을 보고 이전에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를 인식, 상태를 기억하여 HTTP의 Stateless한 성질을 보완
세션 (Session)
# 특징
-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세션은 사용자 정보 파일을 서버 측에서 관리
-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
-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 가능
- 쿠키보다 보안이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
# 동작방식
1.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 받음(서버로 부터)
2. 클라이언트는 쿠키를 사용해서 세션 ID 저장하고 가지고 있음
3.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의 세션 ID를 같이 서버에 전달해서 요청
4.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 받아서 별다른 작업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
5. 서버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 JSESSIONID
- 톰캣 컨테이너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발급하는 키
쿠키와 세션 차이
쿠키 (Cookie) | 세션 (Session) | |
저장 위치 | 클라이언트 | 서버 |
저장 형식 | text | Object |
라이프사이클(만료시점) | 쿠키 저장시 설정 | 브라우저 종료 시 삭제 |
보안 | 비교적 취약 | 안전 |
속도 | 빠름 | 비교적 느림 |
'네트워크 (Network)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상태 코드 (27) | 2024.02.01 |
---|---|
[HTTP] MIME 타입 (29) | 2024.01.31 |
[HTTP] 웹 서버(Web Server)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32) | 2024.01.31 |
[HTTP] 웹 브라우저(Web Browser) (14) | 2024.01.30 |
[HTTP] REST API 방식 (29)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