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HTML(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는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표준 마크업 언어
-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고 콘텐츠를 표시하는데 사용
- 사람의 뼈와 같다고 생각
# 요소

- HTML 문서는 다양한 요소들의 조합이다.
- 각 요소는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로 둘러싸인 형태를 가지며, 시작태그와 종료태그 사이에 콘텐츠가 위치
- 몇몇 요소는 종료태그를 가지지 않는 빈 요소도 존재 (<br>, <img> 등)
# 속성
- HTML 요소에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
- 요소의 시작태그에 속성을 추가하여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음
# 콘텐츠
- HTML 요소에 포함된 실제 텍스트를 나타냄
- 시작태그와 종료태그 사이에 위치
- 사용자가 실제로 보게 되는 부분
# HTML 문서 작성 시 주의사항
- 요소명과 속성명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but 소문자 표기를 권고)
- 파일명 지정 (.htm 또는 .html)
- 두 칸 이상의 연속된 공백은 하나의 공백으로 처리됨
- 요소 안에 다른 요소 포함가능
# 주석
- 주석은 브라우저에 의해 무시, 주로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작성하는데 사용
<!-- 주석입니다. -->
# HTML 문서의 기본 구조
<!DOCTYPE html>
<html>
<head>
다양한 메타 요소 포함(title, link, style, scrpit, meta, base)
</head>
<body>
문서의 본문에 해당하는 내용(브라우저에 실제로 표현되는 영역)
</body>
</html>
- <!DOCTYPE html>
- 브라우저에게 페이지를 올바르게 표시할 수 있도록 문서 형식을 알려주는 지시어
- 반드시 첫 줄에 위치해야 함
- <html>...</html>
- 웹 페이지의 루트 요소
- HTML 문서의 시작과 끝을 알려준다
- <head>...</head>
- 웹 문서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
- <body>...</body>
- 화면에 실제로 출력되는 부분
- 문서의 본문에 해당하는 모든 내용이 포함 됨
# 헤드 부분에 포함되는 메타 요소
- title : 문서 제목 ex)네이버, 구글 등
- link : CSS 스타일 파일(.css) 적용
- style : 웹 문서 전체에 적용할 CSS 스타일 정의할 때 사용
- scrpit : 자바스크립트코드(.js) 작성(또는 외부 코드 링크) 할 때 사용
- meta : 다양한 메타 데이터를 나타낼 때 사용 ex) 문자 인코딩 방식, 키워드, 저작자 등
- base : 기본 URL 경로 지정, 웹 페이지가 출력될 타깃 윈도우 지정
'웹 프로그래밍(Web Programing)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HTML 요소 : 리스트 (0) | 2025.04.01 |
---|---|
[HTML] HTML 요소 : 텍스트 (0) | 2025.03.20 |
[HTML] 컬러 코드 간편하게 찾는 사이트 (24)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