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변수
# var
- ES5에서 사용되는 변수 선언 방식
- 함수 스코프를 가지며, 같은 변수를 여러 번 선언할 수 있음
- 호이스팅(hoisting)에 영향을 받음
# let
- ES6에서 도입된 변수 선언 방식
- 블록 스코프를 가지며, 블록 내에서만 유효
- 변수 재선언이 불가능
- 호이스팅에 영향을 받지 않음
# const
- 상수를 선언하는데 사용
- 재할당이 불가능하며,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함
- 블록 스코프를 가짐
- 재할당이 불가능하지만 객체 또는 배열과 같은 가변 객체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내부 값이 변경될 수 있음
특징
# 동적 타입 언어(Dynamically Typed Language)
- 변수를 선언할 때 명시적으로 자료형을 지정할 필요 없음
- 변수의 자료형은 실행시간에 결정
# 변수의 유효 범위(Scope)
- 변수의 스코프는 변수가 접근 가능한 범위를 정의
- ES6 이전에는 함수 레벨 스코프가 사용 됨
- ES6 부터는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블록레벨 스코프를 지원
자료형
숫자형(Number)
let num = 10; // 정수
let floatNum = 3.14; // 부동 소수점 숫자
문자열(String)
let str = "Hello, world!";
논리형(Boolean)
let isTrue = true;
let isFalse = false;
객체(Object)
- 객체는 여러 속성(키와 값의 쌍)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 함수, 배열, 날짜 등 모든 것을 객체로 나타낼 수 있음
let person = {
name: "John",
age: 30
};
함수(Fuction)
- 일련의 문장을 실행하는 코드 블록
- 코드의 재사용성과 모듈화를 위해 사용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배열(Array)
- 여러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리스트
-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조작할 때 사용
let numbers = [1, 2, 3, 4, 5];
심볼(Symbol)
- 고유하고 변경 불가능한 데이터 타입, 객체 속성의 키로 주로 사용
const sym = Symbol("description");
그 외
- null 자료형은 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냄- 변수를 초기화 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음
let nullVar = null;
- undefined 자료형은 값이 할당되지 않음을 나타냄
- 변수가 초기화되지 않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속성에 접근할 때 반환
let undefinedVar;
console.log(undefinedVar); // 출력: undefined
728x90
'웹 프로그래밍(Web Programing)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개요 (23) | 2024.02.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