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144 [CS] 자료구조 - 이진 트리 이진 트리(binary tree) - 트리 중에서 차수가 2인 트리- 모든 노드의 차수는 최대 2를 넘지 않음- 모든 노드는 최대 2개의 서브 트리를 가짐- 각 서브 트리는 왼쪽 서브 트리와 오른쪽 서브 트리로 구분됨- 왼쪽 노드와 오른쪽 노드에 '순서'의 의미를 부여함- 이진 트리의 각 서브 트리는 다시 이진 트리가 됨 # 이진 트리의 높이- N개의 노드를 가진 이진 트리의 높이를 계산으로 구할 수 있음최대 높이 : N으로 노드의 개수와 같음최소 높이 : 모든 내부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 노드를 갖는 경우로서 [log2 N] +1 이 높이가 됨이진 트리 순회 연산- 일정한 순서에 따라 트리에 있는 각 노드를 한 번씩 방문하는 것 # 전위 순회 (preorder traversal, DLR)- DLR은 .. 2024. 10. 1. [CS] 자료구조 - 트리 트리(Tree)- 데이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선형 자료구조- 노드(node) 라고 불리는 부분과 노드를 연결하는 가지(branch, edge)로 구분됨- 노드 사이에는 계층적인 관계성을 갖음 # 트리 용어 정의노드(node) : 정보 항목을 의미루트(root) : 빈 트리가 아닌 경우에 맨 꼭대기에 있는 하나의 노드차수(degree) : 각 노드에 있는 가지의 수잎 노드(leaf node) = 단말 노드(terminal node) : 노드의 차수가 0인 노드내부 노드 = 비단말 노드(non-terminal node) : 루트 노드와 단말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부모(조상) 노드 : 루트 노드로부터 어떤 노드 x까지의 경로(가지들의 모음) 상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를 x의 부모 노드라고 함자식(자손).. 2024. 10. 1. [CS] 컴퓨터와 자료 컴퓨터란?- 프로그램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기 (programmable data processor)- 특수 목적의 한 종류의 작업을 처리하는 기계가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의 기계프로그램 - 컴퓨터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조작)할지를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의 집합- 컴퓨터에서 처리 가능한 작업의 유형과 연산의 집합을 결정 - 프로그래밍 과정의 결과물(알고리즘, 코딩)컴퓨터 장점(특징) - 신속한 처리- 정확성- 자동(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 대용량(대용량의 데이터 저장 및 처리)컴퓨터과학이란?- 데이터의 획득, 표현, 처리, 저장, 통신, 접근을 위한 방법들의 실행 가능성, 구조화, 표현, 기계화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학문 분야- 컴퓨터, 데이터, 프로그램, .. 2024. 9. 5. SQLD CBT 사이트 추천 SQLD 를 합격했고 공부하던 중 cbt 사이트가 잘 없어서 문제풀이에 고생이 많았다. 검색하다가 찾은 좋은 cbt 사이트를 공유합니다! https://cbt.youngjin.com/ 이기적 CBT, 영진닷컴 cbt.youngjin.com 2024. 7. 8. [SQLD 2-3-4] 관리 구문 - DCL DCL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어로 객체에 대한 권한을 부여(GRANT) 하거나 회수(REVOKE) 하는 기능- 테이블 소유자는 타계정에 테이블 조회 및 수정 권한 부여 및 회수 가능권한- 일반적으로 본인(접속한 계정) 소유가 아닌 테이블은 원칙적으로 조회 불가(권한 통제)- 업무적으로 필요시 테이블 소유자가 아닌 계정에 테이블 조회, 수정 권한 부여 가능 # 권한 종류1) 오브젝트(객체) 권한- 테이블에 대한 권한 제어 ex) 특정 테이블에 대한 SELECT, INSERT UPDATE, DELETE, MERGE 권한- 테이블 소유자는 타 계정에 소유 테이블에 대한 조회 및 수정 권한 부여 및 회수 가능 2) 시스템 권한- 시스템 작업(테이블 생성 등) 등을 제어 ex.. 2024. 7. 2. [SQLD 2-3-3] 관리 구문 - DDL # 데이터 유형 # 제약 조건- 데이터 무결성을 위해 각 컬럼에 생성하는 데이터의 제약 장치- 테이블 생성 시 정의 가능, 컬럼 추가 시 정의 가능, 이미 생성된 컬럼에 제약조건만 추가 가능DDL (Data Definition Laguage)-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구조 정의(객체 생성, 삭제, 변경) 언어- CREATE(객체 생성), ALTER(객체 변경), DROP(객체 삭제), TRUNCATE(데이터 삭제)- AUTO COMMIT(명령어 수행하면 즉시 저장, 원복 불가)CREATE- 테이블이나 인덱스와 같은 객체를 생성하는 명령어- 테이블 생성 시 테이블명, 컬럼명, 컬럼순서, 컬럼크기, 컬럼의 데이터타입 정의 필수- 테이블 생성 시 각 컬럼의 제약조건 및 기본값은 생략 가능- 테이블 생성 시 .. 2024. 6. 21. [SQLD 2-3-2] 관리 구문 - TCL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트랜잭션 제어어로 COMMIT, ROLLBACK 이 포함됨- DML 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작업단위(트랜잭션) 별로 제어하는 명령어- DML 수행 후 트랜잭션을 정상 종료하지 않는 경우 LOCK 발생할 수 있음 # 잠금 (LOCK)- 트랜잭션이 수행하는 동안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 다른 트랜잭션이 동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 잠금이 걸린 데이터는 잠금을 실행한 트랜잭션만이 접근 및 해제 가능(관리자 권한 계정 제외) 트랜잭션-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연산 단위(하나의 연속적인 업무 단위)- 하나의 트랜잭션에는 하나 이상의 SQL 문장이 포함- 분할 할 수 없는 최소의 단위- ALL OR NOTHING 개념(모두 COMMIT 하거나.. 2024. 6. 20. [SQLD 2-3-1] 관리 구문 - DML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의 삽입(INSERT), 수정(UPDATE), 삭제(DELETE), 병합(MERGE)- 저장(Commit) 혹은 취소(Rollback) 반드시 필요 # INSERT- 테이블에 행을 삽입할 때 사용- 한 번에 한 행만 입력가능(SQL Server 여러 행 동시 삽입 가능)- 하나의 컬럼에는 한 값만 삽입 가능- 컬럼별 데이터타입과 사이즈에 맞게 삽입- INTO 절에 컬럼명을 명시하여 일부 컬럼만 입력 가능. 작성하지 않은 컬럼은 NULL 이 입력됨- 전체 컬럼에 대한 데이터 입력 시 테이블명 뒤의 컬럼명 생략 가능# 문법INSERT INTO 테이블 VALUES(값1, 값, ...); -- 전체 컬럼의 값을 입력INSERT INTO 테이블(컬.. 2024. 6. 18. [SQLD 2-2-8] SQL 활용 - 정규 표현식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문자열의 공통된 규칙을 보다 일반화 하여 표현하는 방법- 정규 표현식 사용 가능한 문자함수 제공(regexp_replace, regexp_substr, regexp_instr, ...) ex) 숫자를 포함하는, 숫자로 시작하는 4 자리, 두번째 자리가 A 인 5 글자 정규 표현식 종류REGEXP_REPLACE- 정규식 표현을 사용하여 문자열 내의 패턴을 다른 문자열로 대체 # 문법REGEXP_REPLACE(source_string, pattern, replace_string, position, occurrence, match_parameter) - source_string : 검색할 문자열- pattern : 대체할 패턴을 정의하는 정규 표현식- re.. 2024. 6. 17. 이전 1 2 3 4 5 6 ··· 16 다음 728x90